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소 사육기간 단축”…‘한우 생산혁신 멘토단’ 출범

청년농 대상 사양기술 등 노하우 멘토링
경영비 절감·환경문제 해결 동시에 해결

 

한우 사육기간 단축을 위해 정부가 16명의 농가를 선발해 멘토단을 만들었다. 이들은 한우 사육기간 단축 기술을 습득하려는 청년농 등을 대상으로 사양기술 등을 전수하게 된다.

 

농식품부는 지난달 29일 전북 전주에 있는 한국농수산대학교에서 ‘한우 생산혁신 멘토단’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날 위촉되는 생산혁신 멘토는 암소개량, 우량 송아지 확보 및 사료급여 프로그램 등 특화된 사양관리 기술과 노하우 등을 토대로 일반 농가들보다 6~9개월 빨리 한우를 출하하는 농가(총 16명)들로 선발됐다.


본래 한우 평균 출하월령은 평균 31.6개월인데 이들 농가는 평균 23~28개월이다.
한우 사육기간을 줄이면 사료비와 인건비가 대폭 줄어든다. 여기에 악취와 온실가스 배출도 줄어드는 효과도 있다. 다만 현재 대부분 농가는 소 중량과 마블링이 줄어들어 수익성이 나빠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들 멘토단은 한우 사육기간 단축 기술을 습득하려고 하는 청년농·후계농 등의 농장을 직접 찾아가 개체 관리부터 사양기술 및 축사환경 관리 노하우 등을 멘토링하게 된다.


이번 출범식에는 김종구 식량정책실장을 포함해 국립축산과학원, 한국농수산대학교, 축산물품질평가원, 농협경제지주, 전국한우협회 등 한우 관련 범축산 기관·단체의 대표 등이 참석해 함께 위촉장을 수여했다.
또 멘토인 김문석 농가(전북 고창 중우축산)는 직접 강연자로 나서 미래 한우산업을 이끌어나갈 한국농수산대 한우학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생산혁신 실천 사례와 성과를 소개했다.


농식품부는 한우산업 중장기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사육기간 단축 및 단기비육 한우고기 시장창출 등을 골자로 하는 ‘소 사육방식 개선 방안’을 마련해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사육기간 단축 여건 조성을 위해 한우 생산혁신 멘토단을 운영하고 사육기간 단축 참여 농가를 대상으로 고선호·육량형 정액 우선 배정, 유전 형질별 적정 출하월령 도출 및 암소개량 등을 위한 수송아지·암소 유전체 분석도 지원한다.
아울러 신규 시장 창출을 위해 농협 하나로마트와 민간 유통업체 등에 공급하고, 소비자들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할인판매 및 시식행사 등을 실시하기로 했다.


김종구 식량정책실장은 “한우산업이 지속가능한 미래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경영비 절감과 환경문제 해결이라는 과제를 극복하는 동시에,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다양한 가격대와 고품질의 한우를 생산하려는 노력이 반드시 동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