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12 (화)

  • 맑음동두천 14.8℃
  • 맑음강릉 16.3℃
  • 맑음서울 15.6℃
  • 맑음대전 13.9℃
  • 맑음대구 16.5℃
  • 맑음울산 15.9℃
  • 맑음광주 16.1℃
  • 맑음부산 18.1℃
  • 맑음고창 13.7℃
  • 구름많음제주 18.0℃
  • 맑음강화 11.7℃
  • 맑음보은 13.4℃
  • 맑음금산 12.7℃
  • 맑음강진군 16.7℃
  • 맑음경주시 14.1℃
  • 맑음거제 14.1℃
기상청 제공

한우 탄소중립 경쟁력, 수입소고기보다 29% 높아

전북대, 국내산 소고기와 수입소고기 탄소중립 경쟁력 비교 분석
한우 자급률 10% 향상시 세계 소고기 온실가스 배출 34만5000톤 감소

 

세계적으로 축산 탄소중립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한우의 탄소중립 경쟁력이 수입소고기에 비해 29%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우 자급률이 10% 향상될 때마다 세계 소고기 온실가스 배출량이 34만5000톤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북대학교(총장 김동원) 동물분자유전육종사업단은 국내산 소고기와 수입소고기의 탄소중립 경쟁력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한국동물유전육종학회지’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세계식량농업기구(FAO)가 공표하는 ‘가축사육단계에서의 국가별 소고기 탄소발자국(배출강도)’과 지난 60여 년간의 우리나라 소고기 생산 데이터를 분석해 한우의 탄소중립 경쟁력과 그 이유에 대해서 밝혀냈다. 한우의 탄소중립 경쟁력이 프랑스, 영국, 호주 등의 OECD 국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지난 60여 년간 한우의 도체중량(지육량)은 164%(연평균 1.8%) 증가했다. 탄소발자국은 83%(연평균 3.1%)나 감소했다.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어려운 결과다. 우리나라 소(한우, 육우, 젖소) 도축두수의 85%를 차지하고 있는 한우의 개량에 따른 결과로 풀이할 수 있다. 한우 개량이 40여 년간 진행된 후에도 2002년~2020년 기간 동안 도체중량이 23%(연평균 1.3%) 증가해 한우 개량에 따른 소고기 탄소발자국 감축에 대한 지속 가능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관측됐다.

 

2017년도의 경우 국내산 소고기는 23만9000톤이 생산됐으며 미국, 호주, 네덜란드 등 세계 7개국으로부터 총 34만4000톤의 소고기를 수입했다. 유통물량을 기초로 산출한 국내산 소고기와 수입소고기의 평균 탄소발자국은 각각 ㎏당 이산화탄소상당량 13.9와 17.9로 수입소고기의 탄소발자국이 29% 높았다. 국내산과 수입소고기를 합한 국내 소비기준 소고기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약 1400만 톤이며 수입소고기를 국내산으로 대체할 경우 자급률이 10% 증가할 때마다 34만5000톤의 온실가스가 감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산 소고기 보다 탄소발자국이 높은 소고기를 수입해 소비하는 형태는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순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저탄소 형질 한우 개량을 통한 적정 사육두수를 유지하면서 탄소발자국을 줄여갈 경우 수입소고기를 대체하면서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소고기의 경우 공산품에 비해 국가 간 탄소발자국이 무려 14배 이상 차이가 난다. 특히 폭발적 수요 증가로 인한 개도국의 소고기 탄소배출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선진국의 감축 노력만으로 세계 소고기 탄소배출량을 감소시키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와 같이 최단기간에 탄소배출량을 80% 이상 줄인 저탄소 개량 기술 체계를 선진국은 물론 개발도상국의 탄소배출 감축을 위한 시스템 수출도 가능할 전망이다. 탄소 감축량을 탄소배출권으로 전환할 수 있는 시스템과 이를 통해 확보된 배출권 수익의 재투자가 가능해질 경우 지속 가능한 세계 축산탄소 감축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럽에서는 이미 2026년부터 탄소국경세를 부과한다는 법안이 통과됐다. 이는 세계적인 추세다. 축산 탄소 배출을 줄이는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기반으로 세계 처음으로 유전체 분석 기반의 개체별 소의 탄소발자국 감소량를 확인할 수 있는 저탄소 소고기 검증 플랫폼을 개발했다. 개체별 탄소발자국 저감량 검증에 대한 지속 가능성과 함께 정밀한 추적 가능성을 실현했다. 이 플랫폼을 통해 탄소발자국이 감소한 소고기 검증체계를 갖추고 로카카우라는 저탄소 한우 브랜드도 만들었다. 기존의 한우 등급 체계를 유지한다. 현재 한우 생산 농가와 가공, 유통 시장 적용을 위한 현장 시범 사업을 시행 중에 있다.

 

연구를 총괄한 이학교 교수는 “이후 저탄소 형질을 반영한 한우의 육종 기술이 보다 체계적으로 적용될 경우 국내 축산 분야 탄소중립 목표의 달성과 함께 개발도상국에 축산탄소배출 저감 검증 시스템 구축을 통한 지속가능한개발목표(SDGS)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