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대학교 주선태 교수가 동물성지방에는 포화지방이 많아 혈관건강에 좋지 않다는 기존의 상식을 뒤집는 연구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곡물로 비육한 한우고기는 마블링(근내지방)의 축적이 많이 이뤄지는데, 이 경우 단가불포화지방산인 올레인산의 비율이 월등히 높아진 반면 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혈관건강에 좋은 영향을 미친 것을 규명한 것이다.
사람들은 흔히 마블링이 많은 곡물비육 쇠고기를 섭취하면 건강에 좋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이것은 사실이 아님을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증명됐다. 방목하면서 풀을 먹고 자란 목초비육 쇠고기가 오메가-3 지방산이 많아 건강에 더 좋을 것이라 생각하지만 사실은 이와 반대이다. 미량성분인 오메가-3 지방산의 함량은 많아지지만 주요 지방산인 올레인산의 함량은 감소해, 전체적으로 불포화지방산은 큰 폭으로 감소하고 그만큼 포화지방산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주선태 교수는 임상시험에서 곡물비육 한우고기와 목초비육 한우고기, 미국산 쇠고기와 호주산 쇠고기 등 총 4종류의 쇠고기를 남녀성인 30명을 대상으로 각각 4주 동안 매일 120g씩 섭취하게 한 후, 혈중 콜레스테롤 관련 물질들을 조사했다. 그 결과 마블링이 많은 곡물비육 한우고기의 섭취가 혈중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동맥경화지수(AI)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수입쇠고기의 섭취는 혈중 HDL-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시켜 동맥경화지수(AI)가 증가돼 혈관건강에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혈중 TMAO(트리메틸아민옥시드) 농도가 고지혈증, 혈전생성 및 혈관기능장애 유발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감안 할 때, 곡물비육 한우고기의 섭취 시 혈중 TMAO 농도가 기준선보다 감소한 사실은 마블링이 좋은 곡물비육 한우고기의 섭취가 혈관건강에 좋다는 확실한 증거이다. 곡물비육이 근내지방, 올레인산 및 불포화지방산 함량을 증가시켜 혈관건강에 더 이롭다는 주선태 교수의 연구결과는 지난 8월 아일랜드 코크에서 개최된 세계 식육과학기술 학술대회(ICoMST)에서 초청강연으로 발표돼 국제적인 관심 또한 받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국민들이 올바른 정보를 바탕으로 한우고기를 섭취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고, 향후 국민들의 한우고기 섭취량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는 Meat Science, 축산식품학회 등 국내외(미국, 영국 등) 유명 영약학 학회지에 등재됐다.
이제부터는 안티마블링에 쫄 때가 아니고 오히려 마블링이 혈중 HDL-콜레스테롤 수치를 증가시키는데 필수적으로 필요하다는 근거를 가지고 마블링이 좋은 한우고기를 반드시 섭취해야 한다는 주장을 강하게 할 때이다.
문종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