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22 (일)

  • 맑음동두천 -5.6℃
  • 맑음강릉 -0.5℃
  • 맑음서울 -1.6℃
  • 맑음대전 -2.3℃
  • 맑음대구 0.0℃
  • 맑음울산 -0.6℃
  • 맑음광주 0.7℃
  • 맑음부산 1.4℃
  • 맑음고창 -2.2℃
  • 구름많음제주 5.4℃
  • 맑음강화 -2.9℃
  • 맑음보은 -4.6℃
  • 맑음금산 -4.1℃
  • 맑음강진군 1.0℃
  • 맑음경주시 -0.4℃
  • 맑음거제 1.1℃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한우농가 당면 문제부터 해결해야 탄소중립 목표달성 가능

특별기고 / 탄소중립 시대에 걸맞는 한우농가 대책 (상)

2023년 현재 탄소중립은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 곳곳에서 모든 산업의 가장 뜨거운 이슈이다. 이미 우리나라 정부도 2020년 12월 ‘2050 탄소중립의 추진전략’을 수립하여 발표하였고, 이에 농림축산식품부 역시 농업분야 탄소배출량 저감목표를 48%로 정하고, 그중 70%를 2030년까지 조기 감축을 통해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고 발표했다. 


농식품부는 축산분야 실천과제로 사양관리·분뇨처리 개선, 스마트 축사 보급 및 소 사육방식 개선 등을 발표했는데, 사실 축산분야의 실천과제를 조금 들여다보면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하여 한우농가를 살리면서 동시에 탄소중립이라는 큰 명제를 달성할 수 있는 좀 더 적극적이고 현실적인 부분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한우가격 폭락, 사료가격 상승 등 한우산업 위기라는 현재 시점에서 당면한 현실문제인 한우가격 및 사료가격 안정화, 농가 생산비 해결 등 실질적으로 한우농가의 문제를 먼저 해결하고 동시에 탄소중립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대책만이 농가의 참여도와 국가적인 탄소중립 목표 달성도를 높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예컨대 농식품부산물의 재활용 즉, 폐기되는 탄소자원의 사료로써 이용은 앞서 언급한 현 시점에서의 한우농가의 생산비 부담과 탄소중립의 현실적 실천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농촌진흥청 자료에 따르면 국내 농식품부산물 폐기량은 연간 600만톤이 넘고 이 부산물의 폐기 처리비용으로 7700억원 이상이 소요될 수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농촌진흥청, 2016; 2019).
또한, 최근 한우농가 5곳에 농식품부산물을 사료로 이용하여 한우를 사육한 결과 37% 사료비 절감과 육질 1++등급 출현율 15.6% 상승, 출하월령 2.6개월 단축 등 농가소득이 134% 높아졌다고 알려져 있다(농촌진흥청, 2023). 

 

 

사실 농산부산물의 재순환 문제는 비단 어제오늘의 대책은 아니다. 이미 2008년 국제곡물파동을 겪으면서 자가 TMR 방식이 한우 사육농가 사료비 절감 방안으로 보급된 바 있다. 하지만, 기존 관행 방식에서 TMR방식으로의 변화에 따르는 여러 가지 어려움, 예컨대 초기 자본 부담, 부산물 확보 방안, 영양학적으로 부족하지 않는 과학적 배합비 등의 문제로 한우농가 입장에서는 받아들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 
첫 번째 애로사항인 초기 자본 부담은 TMR 배합기 구입 시 구매자금 보조금 정책이나 부산물 활용한 TMR 배합프로그램을 통한 사료비 절감 방법 제시 등으로 일정 수준이상 해결해 왔다.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세비육 100두 기준 6개월 입식에서 30개월 출하(24개월 사양)하는 농가를 기준으로 1일 두당 평균 12kg TMR 급여 시, 1kg당 400원짜리 TMR 사료를 농산부산물을 활용하여 350원으로, 즉 1kg당 50원 저렴하게 배합비를 작성해서 TMR을 한우에게 급여한다면 비육 1 사이클(즉, 24개월 사양)이 완료되면 4320만원이 사료비로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는 TMR 배합기를 구매자금 보조사업(50% 자부담 기준)으로 구매한다고 가정한다면 대형 TMR 배합기 1대와 맞먹는 금액이다(35m3 고정식 기준; 대동테크 제공).
(다음호에 계속)


<주요경력>
-전 영국 HRI 연구소, 핀란드 MTT 연구소 연구원
-전 미국 텍사스 A&M 대학교 방문과학자
-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재직 
-전 대구대학교 동물자원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