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한우산업을 타개하기 위해 숙성육 시장을 확대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공인기준을 만들어 소비자들에게 숙성육에 대한 신뢰를 주고, 저등급 한우의 소비도 촉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최근 ‘한우낙농산업 경영안정 대책 연구’ 보고서를 통해 한우산업의 지속을 위해서는 숙성육 시장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제언을 내놨다.
농경연에 따르면 숙성육은 저등급·비선호 부위의 가치를 높여 한우가격 상승을 유도할 잠재력이 있으나 숙성육 시장은 여전히 협소하다고 했다. 현재는 숙성육이 소개돼 시장 초창기를 거치는 상황으로 숙성육으로 인한 눈에 띄는 시장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한우는 60%가 저지방·비선호 부위로 구이용에 비해 3분의 1 가격에 거래된다. 특히 1++ 등급은 3등급에 비해 3.3배 가량 높은 가격을 보인다.
이로 인해 사육 농가들은 소의 지방량을 늘리고 체중을 늘리기 위해 사육 기간을 최대한 연장하고 있다.
저지방·비선호 부위를 숙성해 육류의 연도를 높여 소비자의 선호에 맞출 경우 수요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농경연의 설명이다. 비선호 부위의 가격 상승은 사육기간 단축을 통한 생산비 절감 효과도 일으킬 수 있다.
다만 국내에서는 소비자가 숙성육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데다 다양한 방법의 숙성이 시도되면서 소비자는 숙성육에 대한 선호를 확신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에 농경연은 공인된 숙성 기준을 만들어 소비자들이 품질을 예상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농경연 관계자는 “정부가 숙성 과정을 연구해 연도관리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며 “숙성육 표준화 작업은 시장 성장은 물론 국가 전체의 사료 사용량 감소 효과도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