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재 효율관리위해 사후관리 이행보증제도 도입
그룹단위 패키지통해 스마트축산 2세대 전환 박차
# 전북 군산의 명월농장(대표 신동규)은 지능형 장비로 한우 약 250마리(번식우 90마리?비육우 160마리)를 키운다. 명월농장은 미생물 생성기와 각종 정보통신기술(ICT) 장비를 구축하는 데 1억5000만원(자부담 70%)을 들였다. 효과는 뚜렷했다. 맞춤형 사료를 만들어 먹이면서 한우 한 마리 출하할 때까지 사료비용을 약 25%(96만3900원) 절감했다. 분뇨 냄새도 줄었다. 한우마다 목에 ‘소 전용 스마트 워치’를 달아 적기 수정은 물론 체온과 질병 감염 여부를 실시간 측정한다. 신동규 대표는 “스마트축산 전환 이후 소들이 더 건강해져 송아지 폐사율이 연평균 5마리에서 1마리로 감소했다. 육질 1+이상 출현율도 45%에서 83%로 향상됐다”고 말했다.
정부가 기후변화와 탄소중립 등 급격한 환경변화에 직면한 국내 축산업을 지속가능한 미래성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스마트축산으로 전환을 적극 추진하고 나섰다.
농식품부는 디지털 전환과 기술혁신을 통한 축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스마트축산 보급농가를 2023년 전체 축산농가의 23%(7265호)에서 오는 2027년 전체 40%(1만3000호)까지 확대하겠다고 지난 13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이를 위해 생산성 향상, 악취 저감, 가축질병 예방 등 축산업의 현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축종별 스마트축산 최적 성과 도출 모델을 올해 20개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지금까지 농가에 개별장비를 보급하는 체계에서 탈피해 솔루션과 연계한 농가 그룹단위 패키지 사업(180억원 규모)을 추진함으로써 스마트축산 2세대 전환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신규 도입농의 체험·교육 등을 위한 실습 교육장을 상반기내 2개소 구축하고, 스마트축산 기자재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사후관리 이행 보증제도’도 도입하기로 했다.
또 현장 데이터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민간 클라우드에 축산데이터의 수집-분석-유통-활용을 위한 ‘축산 지능형농장(스마트팜) 빅데이터 플랫폼’을 오는 10월까지 축산물품질평가원에 구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스마트 축산 생태계의 외연 확대를 위해 이달 내에 수출지원단을 구성, 스마트장비와 소프트웨어 등 스마트축산 전체를 패키지로 수출 산업화하는 체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스마트축산은 노동력 부족과 생산성 향상, 특히 악취와 가축질병 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현장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우리 축산업의 경쟁력과 지속가능성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