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축산업계, 대체육류 ‘식물성고기’에 위기의식 … 대응 나선다

  • 등록 2019.12.05 16:03:32
크게보기

과학자에 ‘식물성고기’ 잠재적 건강상 위험 연구 의뢰

식물성 단백질로 만든 대체육류인 ‘식물성 고기(plant based meat)’에 대해 미국 축산업계가 대응에 나섰다.


미국 현지 언론은 지난달 27일 미국에서 식물성 고기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축산업계의 신경전이 본격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축산업계는 로비스트를 동원하거나 과학자를 고용해 식물성 고기의 잠재적 건강상 위험을 연구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미국 목장주연합은 ‘고기(meat)’나 ‘쇠고기(beef)’ 등의 정의에서 대체육류 상품은 포함되지 않도록 해달라고 지난해 2월 농무부(USDA)에 청원했다.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비건’이나 ‘식물 기반’ 등을 표시한 경우 대체육류 상품에 ‘소시지’나 ‘베이컨’ 등의 명칭 사용을 허용하고 있다.


미국 내 여러 주(州)에서도 대체육류 상품의 명칭을 둘러싼 소송이 진행 중이다.
지난해 6월 미주리주를 시작으로 올해 미시시피, 루이지애나, 사우스다코타주에서는 대체육류 상품에 기존 육류제품 용어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이 통과되기도 했다.
미국인들의 ‘진짜 고기’ 사랑은 여전하지만 대체육류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커지는 탓에 축산업계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버거킹, 맥도날드 등 글로벌 패스트푸드 체인은 식물성 고기를 사용한 버거를 연이어 출시했으며 타이슨 푸즈와 스미스필드 푸즈 같은 전통 육가공업체들도 대체육류 개발에 착수했다.
미국 목장주연합 관계자는 “사람들이 식료품점에 가서 우리 제품이 아닌 다른 것을 사기로 결정하면 우리는 잠재적 고객을 잃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미국 시장 내 대체육류 판매량은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에 따르면 미국 내 전체 육류 판매량 중 식물성 기반 대체육류가 차지하는 비중은 1%에 불과하다. 다만 지난 10월까지 미국 육류의 연간 소매 판매는 작년 동기대비 0.4% 감소했지만 대체육류 판매는 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곽동신 기자 andykk@daum.net
Copyright @2020 한우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서울 송파구 가락본동 49-2 오복빌딩 201호 | 전화번호 : 02-403-4561 등록번호 : 서울 다 07094(인터넷신문, 서울 아 54430) | 등록일 : 2004-12-22(인터넷신문 2022-08-25) | 발행인 : 문종환 | 편집인 : 문종환/곽동신 Copyright ©2020 한우신문. All rights reserved.